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없음

산업안전기사 필기기출 위험성평가기법 결함수분석 HAZOP

by 행복은 등잔 밑에 2025. 3. 10.
728x90

위험성 평가(Risk Assessment)는 작업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 요소를 식별하고, 그 위험성을 평가하여 적절한 대응 방안을 마련하는 과정입니다. 위험성 평가 기법은 다양한 방식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주요 기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정성적(질적) 위험성 평가 기법

Checklist(체크리스트 분석)

  • 미리 정해진 점검 항목을 확인하면서 위험 요소를 식별하는 방식
  • 간단하고 빠르지만, 새로운 위험 요소를 발견하는 데 한계가 있음

What-If Analysis (가정 분석 기법)

  • "만약 ○○하면?"이라는 질문을 통해 위험을 예측하는 기법
  • 창의적인 사고가 필요하며 경험과 전문성이 요구됨

Hazard and Operability Study (HAZOP, 위험 및 운전성 연구)

  • 주어진 시스템에서 각 요소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을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분석하는 기법
  • 화학, 플랜트, 공정 산업에서 많이 사용됨

Failure Mode and Effects Analysis (FMEA, 고장 유형 및 영향 분석)

  • 시스템의 구성 요소가 고장 났을 때, 그 영향을 분석하여 개선하는 기법
  • 신뢰성 높은 시스템 설계에 활용됨

2. 정량적(계량적) 위험성 평가 기법

Fault Tree Analysis (FTA, 결함 수 분석)

  • 특정 사고가 발생하는 원인을 논리적으로 도식화하여 분석하는 방법
  • 논리 게이트(AND, OR)를 사용하여 사고 시나리오를 분석

Event Tree Analysis (ETA, 사건 수 분석)

  • 초기 사건(예: 화재)이 발생한 후 연쇄적으로 일어날 수 있는 결과를 분석하는 기법
  • 사고 대응 전략을 수립하는 데 유용함

Layer of Protection Analysis (LOPA, 보호 계층 분석)

  • 안전 시스템이 여러 겹의 보호 장치를 갖추었는지를 평가하는 기법
  •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다중 방어층 개념 적용

Quantitative Risk Assessment (QRA, 정량적 위험 평가)

  • 사고 발생 확률과 피해 정도를 수치화하여 분석하는 기법
  • 주로 대형 플랜트나 공장 설비의 위험 평가에 사용됨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