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안전관리점검 <그라인더> ○ 위험요인· 연마할 때 숫돌 파손으로 인한 숫돌 파편 · 회전하는 숫돌에 협착 · 연삭기 숫돌 방호덮개 미설치​○ 작업 전 주의사항➀ 작업자 건강 상태 확인(숙취, 수면 부족, 심리상태 등) ➁ 주의사항 전달 등 교육 시행➂ 보호구(안전모, 안전화, 보안면, 방진 마스크, 그라인드 가드복, 불꽃방지 커버 등) 착용 점검 ➃ 연삭기는 연삭숫돌 부위에 덮개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사용한다. ➄ 숫돌 덮개는 숫돌이 파괴 비산 되어도 사용자가 보호받을 수 있도록 튼튼한지를 확인하고 사용한다. ➅ 연삭숫돌의 갈라짐, 잔금 등 손상 등을 작업시작 전에 외관 검사를 한다. ➆ 사용전 1분이상, 숫돌 교체 후 3분이상 시험 운전을 하여 이상 여부를 확인한다.○ 작업 중 주의사항➀ 연삭숫돌에는 충격이 가지 않도록 한다... 2024. 5. 6.
시설안전점검 기본사항 체크하기 처음 복지관 시설관리를 맡게 되면, 어디서 부터 무엇을 시작해야 할 지 막막하실 텐데요.일단, 법으로 지정되어 있는 것부터 챙겨가면서 하나 씩 다져가면 되겠습니다. 그래서, 각 영역별로 법에서 명시하고 있는 기본적인 사항들에 대해 정리해 보았습니다.  아래 표를 참고하셔서, 시설관리 안전하게 해갑시다~~~!! 참고로 사회복지관은 소방훈련을 상하반기 2번 하게 되어 있고, 훈련시 꼭 이용자들의 참여가 전제되어 진행하셔야 합니다~~~ 품 목관련법규비 고전기안전관리전기사업법 제73조전기사업법 시행규칙 별표13저압 : 월 1회이상300KW이하 : 월 1회이상500KW이하 : 월 2회이상700KW이하 : 월 3회이상1500KW이하 : 월4회이상전기시설 정기검사전기사업법 시행규칙 제35조2항1. 다음 각 목의 시설.. 2024. 4. 14.
경로식당과 시설관리 대부분의 복지관에는 경로식당이 설치되어 있습니다. 일정정도 규모(무료급식 이용자 50명 이상)이 될 경우, 지자체로부터 보조금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많은 분야 중에 가장 챙겨야 할 것들이 많은 곳이 바로 경로식당 입니다. 일단, 월~금 까지 매일 차질없이 운영되어야 하기 때문에 시설에 문제가 생기면 큰일 이겠죠. ​그리고, 불을 사용하고, 물을 사용하는 곳인데다가 위험한 도구들을 사용하는 곳이다 보니, 안전에 더욱 신경써서 들여다 봐야 할 곳입니다. ​경로식당이 지하에 있는 경우 빼놓고는 방수 및 누수를 신경써야 합니다.^^;​그리고, 음식을 조리하는 곳이다고 보니, 기름때로 인해 하수관도 뚫어야 할 일이 생기기도 합니다.​시설적인 문제야 기술로 해결하면 되지만, 사람이 다치게 되면 돌이킬 수가 없는.. 2024. 4. 14.
다중이용시설의 안전점검 및 안전교육 5월 이면 각 기관에서 가족행사 등 다양한 축제들을 진행합니다. 행사기획 프로그램기획들을 사회복지사들이 맡아서 잘하시겠지요. 저희는 야외행사 시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하는 것이 중요하겠습니다. ​다양한 안전점검 사항이 있겠으나 중요 안 몇 가지 사항에 대해 짚고 넘어가 보겠습니다. 소화기 등 방화장비 정상작동 여부 점검비상구 적치물 제거 및 상시 개방완강기 안전점검누전차단기 등 전기시설 정상작동 여부 점검지하 침수 피해 예방 사전점검비상벨 및 비상구 유도등 점검 이용자 안전교육 관련해서 주요사항은 아래와 같습니다. ​시설배치도 및 대피로를 미리 숙지하여 긴급상황 발생 시 대피통로를 사전 확인대피 후 만날 장소 연락방법 미리 약속위험표지판, 안전선 등 출입 금지 구역 회피재난 징후 목격시 119에.. 2024. 4. 13.
복지관 시설관리와 지도점검 복지관은 정기적으로 지방자치단체로부터 지도점검이나 감사를 받습니다. 예산, 회계, 후원금사용내역, 인력관리, 시설관리 분야 등 분야가 다양합니다. 저희는 다른 분야는 어찌 되었건 시설관리와 관련된 사항은 꼼꼼히 준비를 해야겠습니다.​뭐 지자체마다 지도점검 시 검토하는 자료들이 다 다르겠지만, 아래는 기본 중에 기본인 것 같습니다. 뭐든, 미리 알고 있으면 도움이 되지 않을까 하네요...​건당 500만 원 이상의 공사, 용역, 물품구매내역공사하자검사 이행내역재산대장시설안전점검 실시현황비품관리대장소모품대장정기 및 수시 재물조사 실시내역불용품 현황차량운행일지공사 및 용역 사항​등입니다.​제일 중요한 것은 뭐니 뭐니 해도 공사 및 용역과 관련된 계약서류입니다. 그리고, 시설안전점검 실시현황일 텐데요.​기관에서 .. 2024. 4. 13.
사회복지관 평가와 시설관리 사회복지관은 몇 년에 한 번씩 전국적으로 평가를 받습니다. 이 평가를 좋게 받아야지 불이익이 없다 보니까 대부분의 복지관들이 사활을 걸로 평가준비를 하곤 합니다. ​현장에서 일하는 것 그대로 평가를 받으면 좋을텐데, 현실은 그렇지가 못하다 보니, 평가를 위해 다른 준비들을 많이 하게 됩니다. 그러니, 일이 덤으로 많아지게 되죠.(평가 한 지 표를 만족하기 위해 준비해야 할 서류가 한두 개가 아니다 보니 그 양이 아주 방대합니다.~~)​복지사들 옆에서 보면 힘듭니다.....ㅜㅜ​보조금 받는 정부부처나 산하기관들 중에 사회복지관처럼 지도점검이나 평가가 많은 곳이 또 있을까요??ㅎㅎ​오늘은 사회복지관 평가에서 시설관리 파트의 내용이 어떻게 되는지 알아보고자 합니다. ​​목적 : 이용자와 직원의 안전한 시설이용.. 2024. 4. 13.
복지관의 안전보건관리체계 - 안전관리자의 역할 오늘은 산업안전보건법 제2장 안전보건관리 체계상 안전관리를 수행하는 사람들의 정의와 해당업무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산업안전보건밥상 다양한 안전관리자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지만, 사회복지관에 해당되는 안전관리자는 제한적으로 적용되고 있네요.  그럼에도 현행법에서 이야기하는 안전관리자를 알고 있으면 기관의 요구에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해서 올려봅니다~~1) 안전보건관리책임자○ (정 의) 사업장을 실질적으로 총괄하여 관리하는 사람입니다. ○ (업 무) - 사업장의 산업재해 예방계획의 수립에 관한 사항.- 안전보건관리규정의 작성 및 변경에 관한 사항.- 근로자의 안전ㆍ보건교육에 관한 사항.- 작업환경 측정 등 작업환경의 점검 및 개선에 관한 사항.- 근로자의 건강진단 등 건강관리에 관한 사.. 2024. 4. 12.
시설관리에 유용한 안전보건표지 중대재해처벌법 시행 이후, 안전사고예방의 중요성이 점점 더 커지고 있습니다. 시설에 근무하는 직원, 이용하는 주민들에 대한 안전사고 주의의무를 다하지 않으면, 예기치 못한 불상사가 발생했을 시, 그 책임을 면하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일상적인 공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곳곳에 안전보건 표지판을 붙여 놓는 것도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현장에서 주로 많이 사용하는 안전보건표지판 첨부해 드리니 도움 되셨으면 합니다~~~ 2024. 4. 11.
728x90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