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을 공동체가 담아야 할 성질 전인성 - 영지체의 균형 잡힌 인격 사회성 - 인간관계와 집단에 관한 깊고 넓은 이해(구조적 이해) 역사성 - 시간의 흐름과 축적과 연속성으로서의 과거, 현재, 미래의 이해 공공성 - 사영역의 관심과 이해를 넘어 진실함과 전체를 이해하고 행동 함. 연대성 - 선을 이루는 힘의 다양성의 이해와 이들 간의 효과적 연대 분체성 - 생명격으로서의 조직이 갖춰야 할 기본적 임무와 사명으로 왕성해야 함 방어성 - 다르거나 반대되는 가치관을 지닌 조직과의 대응성 자율성 - 조직의 구성과 운영과 활동에 가장 기본이 되는 가치 유희성 - 조직의 분위기에 즐거움과 기쁨이 창조성과 결합되어 있어야. 배려성 - 수호천사. 섬김과 나눔. 2024. 4. 2. 현대사회와 공동체 ▩ 공동체에 대한 관심의 역사적 흐름 - 오늘날 공동체에 대한 희망은 무비판적으로 수용한 20세기 기술과 물질문명의 대가인 인간소외로부터 시작하고 있다. - 또한, 정보사회의 출현과 더불어 물질문명에서 벗어나 과거의 게마인샤프트적 공동체(사이버)를 회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는 긍정적 관점과 한층 더 인간의 소외를 가지고 올것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 한국에서는 1997년 IMF을 맞이하고 나서부터 ‘공동체’ 회복에 대한 관심이 두드러지기 시작함. ▩ 공동체의 현대적 의미 공동체의 다양한 의미해석 - 소수의 가족이나 동료집단 - 거대한 지역사회 - 뜻을 같이 하는 사람들의 집단 이데올로기 - 구체적인 지역단위를 지칭하기도 함. ▸공동체 개념에 대한 혼란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 공동체에 .. 2024. 4. 2. 이전 1 다음 728x90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