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복지관 소방안전관리자가 해야 할 일 대부분 사회복지관은 소방안전관리자 2급 자격을 갖추어도 선임이 될 수 있다. 소방안전관리자 2급 따는 것이 어찌 보면 쉬울 수도 있겠으나, 현실은 녹록하지 않다. 노유자 시설의 소방안전관리자로 선임된다는 것은 많은 책임과 의무가 따르기 마련이다. 복지관에 소방안전관리자로 선임이 되면, 월 단위 소방점검은 위탁업체에 맞긴다. 그럴 수밖에 없는 게 점검을 하기 위해서는 특정 자격을 가지고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월 단위 소방점검은 위탁업체에 맡긴 다 해도, 매월 소화기 점검은 자체적으로 해야 한다. 대부분 노후된 소화기를 보유하고 있을 경우가 많기 때문에 매월 점검은 필수다. 2024 한샘 욕실 전용관 오픈 이벤트! 아래의 사항은 법으로 정해놓은 소방안전관리자의 역할이다. 큰 틀에서 먼저 확인을 하자. 각.. 2024. 4. 25.
한 눈에 보는 소화기의 종류 1) 가압방식에 따른 분류 축압식 소화기본체용기 중에 소화약제와 함께 소화약제의 방출원이 되는 압축가스(질소 등)를 봉입한 방식의 소화기를 말한다. 용기 내 압력을 확인할 수 있도록 지시압력계가 부착되어 사용가능한 범위가 0.7~0.98 MPa로 녹색으로 되어 있다. 가압식 소화기소화약제의 방출원이 되는 가압가스를 소화기 본체용기와는 별도의 전용용기에 충전하여 장치하고 소화기 가압용 가스용기의 작동봉판을 파괴하는 등의 조작에 의하여 방출되는 가스의 압력으로 소화약제를 방사하는 방식의 소화기를 말한다.2) 능력단위에 따른 분류소형소화기A급 화재용 소화기 또는 B급 화재용 소화기는 능력단위의 수치가 1이상이 어야 한다. 또한 대형소화기 이외의 소화기를 말한다. 대형소화기능력단위의 수치는 A급 화재에 사용하는.. 2024. 4. 24.
728x90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