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복지시설관리

중대산업재해 의무 이행 사항 점검하기

by 행복은 등잔 밑에 2024. 4. 13.
728x90

이번에는 중대산업재해 의무 이행 사항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래의 구분은 중대재해처벌법상 의무이행 사항에 대해 간략하게 정리한 것입니다. 여기에 나와 있는 게 전부는 아니니 참고만 하시기 바랍니다.~~

 

첫 번째,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 여부

 

1) 안전보건경영방침 및 목표수립 여부

: 모든 사업장은 안전보건경영방침을 세우게 되어 있습니다. 이 부분은 담당자가 혼자 작성해서 결정하는 게 아니라, 사업주가 중심이 돼서 근로자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작성해야 합니다.

아무래도 이와 관련된 계획서 및 결과보고 기안이 준비되어 있다면 금상첨화겠죠.

또는 안전관리메뉴얼 상 안전보건방침 부분을 수록하시면 되겠습니다.

 

@근거자료 : 안전관리메뉴얼, 안전보건경영방침 수립 내부기안

 

2) 산업재해에방에 대한 이행계획 수립여부

: 복지관 시설안전관리계획서를 작성하면서, 산업재해예방과 관련된 이행계획을 수립하여 첨부하시면 되겠습니다.

 

@ 근거자료 : 안전관리계획서, 소방계획서, 피난계획서

 

3) 이행계획 추진을 위한 구성원의 역할분담

: 사회복지관에서 산업재해에 방을 위한 이행계획의 역할분담이라는 게 가능한가라는 의문이 들을 수도 있겠지만, 어느 한 가지라도 들어가 있으면 됩니다.

예를 들면, 자위소방대의 역할분담, 위험성평가시 유해위험조사 시 구성원들의 참여, 비상연락망상의 역할분담 등으로 설명할 수 있겠습니다.

 

@근거자료 : 자위소방대, 안전관리계획서, 피난계획서 등

 

오늘은 여기까지만 해보고요. 다음에 아래의 사항들에 대해서도 이어서 작성해 보도록 하고. 안전한 시설관리에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두 번째, 실행 수준

1) 위험성평가 실시

: 위험성

2) 안전점검 실시

3) 안전조치 이행 확인여부

4) 안전보건교육 이수 및 기록관리

5) 유해위험작업에 대한 안전작업허가 이행

 

세 번째, 운영관리

1) 비상시 신호체계 및 연락체계

2) 유해위험물질 및 기계, 기구, 설비 안전확인 관리

3) 비상시 대피 및 피해 최소화 대책

 

네 번째, 재해발생 수준

1) 재해발생 시 재발방지대책 수립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