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위험요인
· 톱, 전지가위 등의 도구 사용할 때 손이나 신체 일부가 찔리거나 베임
· 벌목된 나무, 가지 등에 의해 맞거나 깔림
· 잘린 나뭇가지 등에 걸려 넘어지는 전도
<기계톱 사용>
➀ 전원을 켤 때, 톱날 주위에 사람 또는 장애물이 없는 곳에서 시동
➁ 이동 중에는 기계톱의 시동을 정지함 (기계톱을 든 상태로 시동을 걸지 않도록 함)
※ 이동 중 미끄러지면서 신체를 가해, 동료 작업자에게 피해를 줄 수 있음.
➂ 기계의 안전장치를 임의로 제거하지 않도록 한다.
➃ 톱날이 작업자의 얼굴로 튀어 오르는 킥백(Kick-back)에 주의한다.
➄ 체인톱의 연속 운전은 10분을 넘지 않아야 한다.
➅ 장애물이 없는 평평한 지면에 내려놓고 시동을 걸되, 주위에 튈만한 나뭇가지나 돌 등은 정리 정돈을 해야 한다.
➆ 과열된 체인톱의 배기관 부근에 낙엽 등의 가연성 물질이 접촉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가지치기 작업 >
➀ 사다리에서 작업 시 뒤집힘 방지조치를 하고 반드시 2인 1조로 작업
➁ 높은 곳에서 가지치기 작업 시, 안전대 착용 후 기계톱 대신 손톱 등을 사용※ 어깨높이 이상에서 작업 시 기계톱 사용 절대 금지
➂ 고지 절단기 사용 시, 낙하에 의한 상해 위험이 있으므로 안면 보호구, 헬멧 등 착용
➃ 고지톱, 고지가위 등을 사용할 때 작업자간 안전거리 유지하고 미끄러지지 않도록 주의
➂ 고지톱날 등 장비가 안전한지 수시로 확인, 점검
<벌목 작업>
➀ 벌채 사면의 구획은 세로방향으로 하고, 동일 벌채 사면의 위·아래 동시 작업을 금지
➁ 절단 대상 수목을 중심으로 수목 높이의 2배 이상 안전거리를 유지하여 작업
➂ 절단 수목 주위의 관목, 고사목, 넝쿨 및 부석 등은 제거
➃ 미리 대피장소를 정하고 대피 통로는 대피할 때 지장을 초래하는 나무뿌리, 넝쿨 등의 장해물을 미리 제거하여 정비
➄ 절단 방향은 수형, 인접목, 지형, 풍향, 풍속, 절단 후의 집재작업 등을 고려하여 가장 안전한 방향으로 선택
➅ 벌목 작업에 종사하는 근로자는 벌목으로 인한 위험이 생길 우려가 있을 때는 미리 신호를 하고 다른 근로자가 대피한 것을 반드시 확인한 후 작업하여야 한다.
<나무 켜기 작업>
➀ 나무 켜기 작업 시 톱날이 절단면 사이에 낀 경우, 톱날이 튀어 올라 얼굴을 가격할 수 있으므로 기계톱 엔진을 정지하고 지렛대로 원목 사이를 벌려 정리한다.
➁ 나무가 지면에서 뜬 경우, 벌도목의 압축력과 인장력을 받는 방향에 따라 안전하게 잘라야 함
➂ 나무 위에 올라서거나, 올라앉아 작업하지 않는다.
➃ 다른 나무에 걸친 벌도목 처리 시, 지렛대 등을 이용하여 안전한 방향으로 한다.
➄ 받치고 있는 나무 및 걸려있는 나무 베기 금지
➅ 벌목 작업장과 나무 켜기 작업장의 안전거리 유지하기(수고의 1.5~2배 이상)
'복지시설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야외 작업시 안전조치사항 (0) | 2024.05.12 |
---|---|
배리어프리 경사로설치 노유자시설 도서관 장애인이동권 (0) | 2024.05.12 |
안전관리점검 <사다리> (0) | 2024.05.11 |
배리어프리 bf 노유자시설 복도 통로 공공기관 장애인이동편의 (0) | 2024.05.11 |
안전점검기준 <미세먼지> (0) | 2024.05.10 |